분류 전체보기 9

완전수 찾기

완전수(Perfect number)는 자연수 중에서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의 합이 자기 자신과 같은 특별한 종류의 수를 말합니다. 즉, 어떤 자연수가 자기 자신을 제외한 모든 양의 약수의 합이 그 수 자체와 동일하다면, 이 수는 완전수라고 합니다. 가장 잘 알려진 완전수는 6입니다. 6의 양의 약수는 1, 2, 3이며, 이들의 합은 1 + 2 + 3 = 6이므로 6은 완전수입니다. 또 다른 완전수는 28이며, 28의 양의 약수는 1, 2, 4, 7, 14이며, 이들의 합은 1 + 2 + 4 + 7 + 14 = 28이므로 28 또한 완전수입니다. 완전수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연구되어온 수학적인 개념으로, 많은 수학자들이 완전수에 대해 연구하고 여러 성질을 밝혀내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완전수가..

카테고리 없음 2023.07.17

구분구적법을 이용한 원주율을 구하기

원주율을 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몬테카를로 방법을 이용하여 반복된 무작위의 난수들을 통해 함수의 값을 근사할수도 있고, arctan의 매클로린 급수를 이용하여 tan(pi/4)=1이라는 것을 통해 arctan(1)=pi/4임을 이용해서 원주율을 구할수도 있습니다. 저는 원주율을 구하는 또다른 방법인 구분구적법을 이용하는 방법을 구현해보았습니다. 구분구적법이란 수학적 함수의 정적분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수치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함수를 작은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 함수를 대표할 수 있는 점을 선택하여 해당 점에서의 함수값을 이용하여 정적분 값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함수의 정적분을 구간을 작은 단위로 나누어 각 구간에서의 함숫값을 계산한 후..

카테고리 없음 2023.07.03

NaCl의 결정구조를 그려보자

이온 결합 물질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3차원적으로 결합하여 규칙적인 배열을 갖습니다. 결정이란? 원자, 이온, 분자 등의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이온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것을 이온 결정이라고 합니다. 결정구조로는 단순 입방 구조, 체심 입방 구조, 면심 입방 구조가 있습니다. 이중에서 제가 이번에 구현해본 결정인 염화나트륨(NaCl)의 구조는 Na+와 Cl-가 각각 정육면체의 꼭짓점과 각 면심에 위치하는 면심 입방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면심 입방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정보시간에 배운 내용인 matplotlib과 파이썬을 이용해보았습니다. matplotlib으로 3차원에 구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x좌표, y좌표, z좌표를 순서대로 입력해주어야 했는데, 이를 모두 입력하기에는 입력해야..

카테고리 없음 2023.07.03

이온화 상수와 농도를 통한 농도 계산하기

이번에 화학 하이탑을 풀때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의 관계를 이용해서 처음 농도와 이온화상수만을 통해 평형 농도에서의 계산을 통해 농도를 계산해봤었는데 이거를 C언어로 구현해봐야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진행해봤습니다. 일단 개념을 먼저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개념이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 강산, 약산 정도가 있습니다. 이온화도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이온화 상수는 산과 염기가 물에 녹아 이온화하여 평형상태를 이루었을 때 평형상수를 각각 산의 이온화 상수(Ka), 염기의 이온화 상수(Kb)라고 합니다. 다음과 같은 반응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온화상수를 구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데 여기서 H2O는 용매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물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 상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H2O는 제외하고 식..

카테고리 없음 2023.05.31

이공계 체험 학습 내용 정리

안녕하세요 저희 이공계 체험학습이 미국 동부, 미국 서부, 유럽 중에 고를 수 있었는데 투표로 미국 동부로 정해졌습니다. 아래는 저희의 전체적인 일정을 정리한 표입니다. 비행기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비행기 양 옆자리가 외국인이라 편하지는 않았지만 신나는 마음가짐으로 떠났습니다. ^ - ^ 저희는 J.F 케네디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버스에서 샌드위치를 먹고 MoMA로 갔습니다. MoMA에서는 졸려서 제대로 보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몇몇의 사진들을 찍었습니다. 위 사진은 몬드리안의 작품입니다. 정말 교과서적인 작품이었습니다. 모두가 아는 그 작품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입니다. 실제로 보니 정말 그림이 살아움직이는 것 같았습니다.😀 다음은 뉴욕의 자유여신상입니다. 크루즈에서 보았지만 그 장엄함이 여기서도 느껴지네..

카테고리 없음 2023.05.30

c언어로 미분 구현하기

이번에 정융탐 주제로 설정하게 된 내용인 미분 구현하기입니다. 수업시간에 미분에 대한 내용을 배우고 나서 극한의 개념을 이용할수 있다면 c언어로 미분의 구현은 할만 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고 간단한 아이디어와 개념을 통해 미분을 구현해보았습니다. 평균 변화율이란? 평균 변화율은 함수의 어떤 구간에서의 전체 변화량을 그 구간의 길이로 나눈 값으로, 함수가 해당 구간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냅니다. 평균 변화율은 두 점 (a, f(a))와 (b, f(b))를 지나는 함수 f(x)의 선분의 기울기와 같은 값으로, 수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여기서 f(a)는 구간의 시작점에서의 함수값, f(b)는 구간의 끝점에서의 함수값을 의미하고, b - a는 구간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평균 변화율을 통해 함..

카테고리 없음 2023.05.11

소수 판별법

저는 이번 정융탐의 주제로 소수 판별법을 선택했습니다. 제가 구현해본 소수 판별법의 종류는 2가지로 2가지 소수판별법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단 개념부터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소수란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자연수입니다. 예를 들어 6은 약수로 1 2 3 6을 가지기 때문에 소수가 아닌 합성수이고 7은 약수로 1, 7을 가지기 때문에 소수입니다. 일단 제가 첫번째로 시도한 방법은 간단한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2보다 큰 자연수 n에 대하여 2부터 n-1까지의 모든 수로 나누어서 만약 나누어떨어지는 수가 하나라도 존재하면 소수가 아닌 것이라는 알고리즘을 계획했습니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 int main() { int n, i; in..

카테고리 없음 2023.05.11

이온 반지름비를 이용하여 결정구조 예측

3월 융과탐 주제로 뭘 할까 고민을 해봤는데 화학 수업시간에 배운 양이온과 음이온의 반지름비를 통해 이온 결정구조를 예측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코딩을 해봤습니다. 이온 결정이 어떤 구조를 이루는지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반지름비에 따라 달라집니다. 위 사진은 음이온 반지름 / 양이온 반지름 의 값에 따라 특정한 결정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알려주는 표입니다. 특정한 결정구조에서 음이온 반지름과 양이온 반지름 비의 정도가 정해져 있다는 것이 바로 이해가 되지 않을수도 있을거 같아서 제가 정삼각형 구조와 정육면체 구조일때를 직접 구해봤습니다. ^ O ^ 정삼각형 구조를 가질때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계산에서는 딱히 이해하기 힘든 부분은 없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정사면체 구조는 정육면체에서 4개의 점에..

카테고리 없음 2023.03.25

블로그 운영 목표

정보 융합과학 탐구를 하기 위해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된 이송규입니다. 앞으로의 블로그 운영계획과 방향을 말씀드리자면 일단 매달마다 나오는 정보융합과학 탐구 과제를 올릴 예정이고, 정보에 관해 공유하고 싶은 글이나 탐구한 내용을 올릴 예정입니다. 그리고 추후에는 정보에 관련되지 않은 과목이나 저의 진로에 관련한 활동들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3년 열심히 살아보겠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3.03.17